워드프레스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 hestiaCP 하위도메인 설치 방법 with 벌쳐(Vultr)

유용유익 2024. 1. 15.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 hestiaCP 하위도메인 설치 방법 with 벌쳐(Vultr)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 SNS 공유 기능 많이 이용해 주세요 ✔

이전에 저렴한 비용으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기 좋은 Vultr VPS에서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HestiaCP)을 설치하고, 루트 도메인을 연결해서 워드프레스 설치까지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하위 도메인을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위 도메인 방법을 활용하면 하나의 도메인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와 워드프레스모두 운영이 가능합니다.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 hestiaCP 하위도메인 설치

 

 

이전 포스팅에서 벌쳐(Vlutr)에서 무료로 사용 가능한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HestiaCP)을 설치하고, 루트 도메인 연결 및 워드프레스 설치까지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는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고, SSL 인증서 발급까지 진행할 것입니다. DNS 레코드에서 CNAME을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지만 설치 방법은 거의 동일합니다.

 

물론, 하위 도메인 연결 시 A 레코드를 사용해도 되지만, 가능하면 하위 도메인은 CNAME 레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CNAME 레코드를 이용해서 하위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티스토리 블로그에 연결된 메인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을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도메인으로 워드프레스, 티스토리 블로그 같이 사용하기

 

Vultr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 설치 및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DNS 레코드 설정

 

HestiaCP에서는 A 레코드, CNAME 레코드 모두 인식이 잘 되고, 연결 방법도 간단합니다. 하위 도메인 연결은 CNAME 레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루트 도메인 및 하위 도메인을 모두 A 레코드로 연결하면, 서버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 모든 레코드를 수정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하위 도메인을 CNAME으로 연결하면, 서버 주소와 연결된 루트 도메인 A 레코드 하나만 주소를 변경하면 됩니다.

 

  •  A 레코드 : 벌쳐 서버 IP 주소 입력
  • CNAME 레코드 : 벌쳐 서버 IP 주소와 연결된 도메인명 입력

 

아래의 그림은 현재 호스팅kr에 등록되어 있는 Cash2Tube.com의 레코드 중에 일부입니다. 현재 https://report.cash2tube.com라는 하위 도메인으로 를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A 레코드를 사용해서 하위 도메인을 연결할 경우에는 "사용할 하위 도메인 이름"과 "벌쳐 서버 IP 주소"를 입력해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CNAME 레코드를 사용해서 하위 도메인을 연결할 경우에는 "사용할 하위 도메인 이름"과 "벌쳐 IP와 연결된 도메인명"을 입력해서 설정하면 됩니다.

 

DNS 레코드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레코드가 정상적으로 전파되고 있는지 확인한 다음 HestiaCP에서 연결을 진행하면 됩니다.

 

 

 

HestiaCP 하위 도메인 연결을 위한 DNS 레코드 설정

 

 

 

HestiaCP와 하위 도메인 연결

 

 

HestiaCP에서 효율적으로 사이트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User)를 만들고, 사용자(User) 계정 연관된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Cash2Tube라는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Cash2Tube.com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만 모아서 관리하고, 다른 도메인은 다른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서 관리를 합니다. 일종의 사용자(User)라는 폴더를 만들고, 폴더 안에 파일 또는 폴더를 만든다는 개념과 비슷합니다.

 

HestiaCP에서 사용자 Cash2Tube 하면 현재 2개의 도메인이 연결된 상태입니다. Cash2tube.com의 루트 도메인은 현재 티스토리에 연결되어 있어서, 하위 도메인만 보입니다.

hestiaCP 사용자 선택 하위 도메인

 

 

하위 도메인 연결

 

사용자(User) 계정에 진입한 다음 "Add Web Domain"을 선택해서 하위 도메인 연결을 시작합니다.

HestiaCP - User 선택후 Add Web Domain 선택

 

Domain에 연결할 하위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예시를 위해 CNAME 레코드로 설정한 도메인을 등록을 진행합니다. A 레코드로 설정한 하위 도메인도 동일합니다.

 

User 폴더 아래에 하위 도메인 폴더를 만드는 과정으로 생각해도 됩니다.

HestiaCP - 하위 도메인 연결

 

하위 도메인이 사용할 폴더를 만들어지면, 아래의 그림처럼 성공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위 도메인 이름 "subblog.cash2tube.com"을 클릭해서 SSL 인증서 발급을 시작합니다.

HestiaCP - 하위 도메인 연결

 

 

SSL 인증서 발급

 

지금까지 사용자 계정 폴더 아래에 "subblog.cash2tube.com"이라는 하위 도메인 폴더를 만들었습니다. 이 폴더에 SSL 보안인증서를 발급받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별칭(Ailases)은 빈칸으로 두세요. 그리고, 통계를 사용하려면 "Web Statistics"을 설치하세요.

 

아래의 그림에서는 빼고 설치를 SSL 인증서 발급을 진행합니다. 통계는 필요하다면 나중에라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HestiaCP - 하위 도메인 SSL 인증서 발급

 

SSL 인증서가 정상적으로 발급되면 아래의 그림처럼 정상적으로 발급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 발급이 끝났으니, "Quick Install App"을 눌러서 워드프레스 또는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과정은 이전 포스팅에서도 다룬 내용이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략하겠습니다.

 

Vultr 헤스티아 컨트롤 패널 설치 및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HestiaCP - 하위 도메인 SSL 인증서 발급 성공

 

 

맺음말

 

 

저렴한 비용으로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기 좋은 벌쳐(Vultr) VPS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HestiaCP을 설치하고, 하위 도메인을 추가로 연결하는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부족한 글이지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내용으로 뵙겠습니다.

 

 

출처 및 저작권 표시

 

자료 출처

 

저작권 표시

썸네일 디자인 : 미리캔버스에서 제작되었습니다.

본문 글꼴(폰트) : Google Noto Sans Korean - OFL(Open Font Licese)

이미지에 삽입된 글꼴(폰트) : 이 페이지는 카페 24(주)이 제공한 "카페 24 당당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 SNS 공유 기능 많이 이용해 주세요 ✔

댓글